Skip to content

2화 과거 DAGENAM이 유발점

        이 글은 [2화 “과거 DAGENAM이 유발점”]이란 글의 ‘프롤로그’에서 언급된 “Star Wars라는 George Lucas의 영화는 어떻게 시작이 되었을까?” 라고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과연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그에 대한 이야기를 여기 기록한다. 그리고 Lucas의 이야기 속에서 좋은 시나리오는 자신의 목표에 대한 갈망에서 시작될 수가 있음을 보여준다.

        “Star Wars(별들의 전쟁)”의 아이디어는 처음부터 단순히 우주에 이야기를 담는 것이 아니었다고 한다. 제작자 George Lucas는 오래된 신화, 영웅들의 여정, 심지어 사무라이 영화 등 많은 것에서 깊은 영감을 받은 것이지 원래는 단순한 “우주에서의 전쟁”에 대한 아이디어가 아니었던 것이다. 우주라는 배경은 미래적인 느낌은 주었지만, 이야기의 핵심은 훨씬 오래된 전통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George Lucas는 Joseph Campbell의 저서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 책은 얼마나 많은 문화가 공통된 “영웅들의 여정”을 공유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라고 한다. Joseph Campbell은 이를 “Monomyth”라고 불렀다. 여러 문화권에서 반복되는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의 패턴이라는 것이다. George Lucas는 이런 신화적인 모험을 SF적인 방식으로 이야기하고 싶어 한 것이다.

        또한 George Lucas는 Akira Kurosawa의 『The Hidden Fortress』 같은 영화를 좋아했다고 한다. 그는 “가장 하급 캐릭터”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한다는 아이디어를 차용했는데, 바로 “Star Wars”의 R2-D2와 C-3PO가 바로 그 주인공이라고 한다.

        “Star Wars”는 어떤 면에서 우주에서 재해석된 신화라고 할 수 있는데, 옛 이야기를 새 옷으로 갈아 입혔다고 할 수도 있고, 고대 영웅담, 가족의 갈등, 선과 악의 대립이 모두 광선검과 우주선으로 포장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George Lucas의 경험에서 그리고 기억에서 스토리텔링은 시작된 것이다.

(1)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Joseph Campbell, 1949, https://www.amazon.com/Hero-Thousand-Faces-Collected/dp/1577315936, https://en.wikipedia.org/wiki/The_Hero_with_a_Thousand_Faces, https://www.shortform.com/summary/the-hero-with-a-thousand-faces-summary-joseph-campbell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이 책은 1949년에 출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신화는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매우 다른 문화에서 유래했지만, 많은 신화들이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구조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공유된 서사 구조를 “Monomyth” 또는 “영웅들의 여정”이라고 부른다.

        평범한 세상에 사는 영웅이 있다. 그런데 모험으로의 부름이 일어난다. 영웅은 익숙한 세상을 떠나 도전적이거나 신비로운 마법 같은 세상으로 들어가 시련을 겪고, 도움이나 도구를 받으며, 변화된 모습으로 등장하고, 마침내 집으로 돌아간다. 변화하고, 힘을 얻고,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무엇인가를 가지고 돌아온다.

        단순히 용을 물리치는 것만이 아니라, 영웅 내면의 심리적 변화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한다. Campbell은 신화가 외적인 모험만큼이나 성장, 두려움에 맞서기, 의미 찾기와 같은 내면의 여정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Campbell의 Monomyth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출발(이별), 즉 영웅은 익숙한 세상을 떠난다. 때로는 마지못해, 때로는 강요를 받아, 때로는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떠난다. 둘째, 입문, 즉 영웅은 다른 세계로 들어가 도전에 직면하고, 초자연적인 도움을 받고, 교훈을 얻고, 어쩌면 은유적으로 “죽었다가” 다시 태어난다. 셋째, 귀환, 즉 영웅은 변화된 모습으로 평범한 세상으로 돌아오며, 자기가 살던 곳에 도움과 선물을 준다. 넷째, 변화, 즉 여정은 단순히 외적인 것만이 아니라 내적인 것도 포함한다. 영웅의 자아가 변화한다. 다섯째, 보편적 중요성, 즉 아메리카 원주민, 힌두교, 북유럽 신화에서 기독교까지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는 이러한 패턴을 반영한다. 이는 Campbell이 이러한 이야기가 인간의 경험에 내재되어 있다는 생각을 보여준다.

(2) The Mythology of Star Wars with George Lucas, 1999, Bill Moyers와의 Interview, https://billmoyers.com/content/mythology-of-star-wars-george-lucas

        이 인터뷰에서 George Lucas는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가 Star Wars에 구조와 의미를 부여했다고 언급했다. George Lucas는 여러 인터뷰에서 Joseph Campbell이 없었다면 Star Wars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George Lucas는 오래된 신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전달하려는 노력, 자신의 삶에서 신앙이 차지하는 역할, 그리고 그의 멘토인 Joseph Campbell의 영향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한다.

        Joseph Campbell을 기리는 연설에서 George Lucas는 Campbell의 작품을 접하기 전까지 여러 차례 스토리 초안을 검토했고, 이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으며, 결국 Campbell의 영향력이 최종 스토리에 매우 중요했다고 말했다. George Lucas는 Campbell의 “Monomyth” 구조 덕분에 방대한 초안을 일관성 있고 신화적인 서사로 탈바꿈 시킬 수 있었다고 거듭해서 인정했다고 한다. George Lucas 자신의 말에 따르면, Campbell은 멘토이자 안내자였고, George Lucas는 그를 요다에 비유하기도 했다.

(3) Empire of Dreams, 2004, https://www.youtube.com/watch?v=vB1DA5jZdIQ

(4) Joseph Campbell’s Mythic Influence on Star Wars, https://www.jcf.org/learn/star-wars

(5) Mythic Discovery Within the Inner Reaches of Outer Space: Joseph Campbell Meets George Lucas – Part I, Lucas Seastrom, 2015, https://www.starwars.com/news/mythic-discovery-within-the-inner-reaches-of-outer-space-joseph-campbell-meets-george-lucas-part-i

(6) Without Joseph Campbell There’d be No ‘Star Wars’, Did you know Joseph Campbell said George Lucas was the best student he ever had? https://medium.com/goshdarnblog/want-to-be-the-next-george-lucas-then-read-joseph-campbell-ed7f119b6d0b

(7) Quote by Joseph Campbell, https://www.goodreads.com/quotes/7577623-i-ve-heard-youngsters-use-some-of-george-lucas-terms-the-force,

        (개요) 젊은이들이 George Lucas의 용어 중 하나인 “Force”와 “The Dark Side”을 사용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러니까 어딘 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악의 세력이 이 지구상의 어떤 특정 국가와도 동일시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알 수 없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한 역사적 상황이 아니라 하나의 원리를 나타낸다.

(8) The Power of Myth, Episode 7: Interview with George Lucas,  https://www.youtube.com/watch?v=BfdXjebXwzc

(9) Follow Your Bliss: George Lucas’s Mentor, and The Rise of Skywalker, https://www.reddit.com/r/StarWarsCantina/comments/vsj3jw/follow_your_bliss_george_lucass_mentor_and_the, “행복을 따르고,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네가 몰랐던 곳에서 문이 열릴 것이다.”[Joseph Campbell…].

(10) The Power of Myth: Creating Star Wars’ Mythos with Joseph Campbell, https://bulletproofscreenwriting.tv/the-power-of-myth-star-wars-joseph-campbell

(11) Joseph Campbell’s Major Influence on the Star Wars Original Trilogy, 2020, https://thetolkienian.wordpress.com/2020/06/23/joseph-campbells-major-influence-on-the-star-wars-original-trilogy/

목 차

프롤로그
추가설명자료: 인터랙션
추가설명자료: ‘Star Wars’라는 영화
추가설명자료: Hugh Everett이 언급한 ‘평행 세계’

  1. 어차피 올 디지털로 꽉 찬 세상
    1.1 혼돈 속에서 발견한 패턴
    1.2 덩어리 경험과 달인
    추가설명자료: 정신적인 알고리즘
    추가설명자료: ‘직접경험’, ‘대체경험’, ‘간접경험’
    추가설명자료: “덩어리 경험”이란?
  2. MASERINTS의 시작
    추가설명자료: 예측 능력의 두뇌
  3. DAGENAM의 트리거링
  4. Ubicomp의 출현과 그 영향
  5. MASERINTS가 사람들에게 다가온 길
    5.1 소통을 위한 언어의 새로운 정의

에필로그

Last Updated on 2025년 11월 06일 by MASERI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