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추가설명자료: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HCAI(Human-centered AI) 이 추가설명자료는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의 [1. 새로운 세상이란 표현의 명확한 의미]에서 언급된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에 대한 별도의 추가설명자료이다. ‘HCAI’는 말 그대로 사람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추가설명자료: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HCAI(Human-centered AI) 이 추가설명자료는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의 [1. 새로운 세상이란 표현의 명확한 의미]에서 언급된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에 대한 별도의 추가설명자료이다. ‘HCAI’는 말 그대로 사람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추가설명자료: Neural Interface 이 추가설명자료는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의 [1. 새로운 세상이란 표현의 명확한 의미]에서 언급된 ‘Neural Interface’에 대한 별도의 추가설명자료이다. ‘Neural Interface’는 인간의 두뇌, 즉 신경계를 컴퓨터나 디지털 시스템에 직접 연결하는…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추가설명자료: 디지털중독(Digital Addiction)과 Algorithmic Manipulation 이 추가설명자료는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의 [1. 새로운 세상이란 표현의 명확한 의미]에서 언급된 “디지털 중독”과 “디지털 공간들의 알고리즘”에 대한 추가 설명 내용이다. ‘디지털 중독’과 ‘Algorithmic Manipulation’은 매번…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추가설명자료: Moore’s Law(무어의 법칙) 이 추가설명자료는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의 [1. 새로운 세상이란 표현의 명확한 의미]에서 언급된 Moore’s Law에 대한 별도의 추가설명자료이다. 컴퓨터과학이나 전기전자공학 분야에서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Gordon Moore라는 이름을 한번쯤은…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1. 새로운 세상이란 표현의 명확한 의미 “새로운 세상이 온다”라는 문구는 누구에게나 친숙한 문구일 것이다. 일상 대화에서도, 미디어에서도, 또 여러 광고 등에서 수없이 사용되어 온 매우 흔한 문구이다. 그리고 많은 글에서 Ubicomp의 세계를 묘사할 때도…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프롤로그 새로운 디지털 세상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모든 여정은 표현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탐험가들도 항해를 떠나기 전, 지도를 보고 낯선 땅의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과학자들은 자연의 숨겨진 진실을 밝히기 전, 자신들이 본 것을 묘사하기… 5화 스토리텔링 속 표현의 참뜻
에필로그 나는 독창적인 것을 만들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찾는 경우가 많다. 책을 사고, 밤 늦게까지 인터넷을 검색하고,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만 이러한 접근방식은 상당한 시간, 비용과…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10. 창출을 경험한다는 것? 경험 속에 존재하는 ‘조각경험’ 사이에 연결성을 찾아볼 수 없는 ‘조각경험’들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연결성이 없는 ‘조각경험’들에게 연결성을 만들어 주게 되는 과정을 나는 ‘경험의 창출’이라고 부른다. 두뇌가 ‘조각경험’들을 새로운 조합으로…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9. 경험을 발견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 이전에 제공한 방법은 이해가 가더라도 어느 정도 시간을 가지고 해야 하는 방법이다. 차분히 앉아서 수 백단계를 만들어 내려면, 일정 시간의 끈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도 그런 노력의 결과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인간의 인식 능력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8. 두뇌 어딘 가에 있을 잊혀 진 그 무엇을 찾아서]에서 거론되었던 “인간의 인식 능력”에 대한 내용이다. (1) Artificial Intelligence: A Guide for Thinking…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8. 두뇌 어딘 가에 있을 잊혀 진 그 무엇을 찾아서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두뇌의 능력 중 그 일부분만을 사용하면서 살아간다”는 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연구 분야의 발표에서는 인간의 인식 능력 수준까지 도달하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7. 컴퓨터는 어떻게 경험을 발견하고 창출할까? 컴퓨터는 더 이상 지위의 상징이나 부의 상징이 아니다. 주변에 흔한 것이 컴퓨터가 되었고, 일상적인 도구가 되어 사람들의 일상에 깊이 스며들었다. 이렇게 흔한 컴퓨터지만, 그리고 사람이 만들어 냈고, 사람의…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맥락이 모든 것을 결정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6. 가장 중요한 것은 맥락을 발견하는 것]에서 거론되었던 “맥락이 내 경험의 순간순간 모든 것을 결정”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내용이다. ‘인지심리학’과 ‘행동과학’…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6. 가장 중요한 것은 맥락을 발견하는 것 하나의 경험 속에서 내 주변의 흐름의 맥락이 달랐다면 나의 경험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나의 행동이 바뀌었을까? 나의 감정이 바뀌었을까? 이제 나는 내가 선택한 경험을 분리하면서 내 자신의 경험만이…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5. 두뇌를 깨우는 간단한 방법 내가 나의 두뇌를 깨우기 위해 시도하는 ‘두뇌동작 시뮬레이션’은 일상의 아주 기본적인 질문으로 시작할 수 있는 그런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여 나의 정신적 습관을 떨쳐내고 새로운 생각, 새로운 아이디어, 그리고 사물을…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기술들이 사람들의 삶의 흐름을 점차 새롭게 형성해 가고 있다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기술들이 사람들의 삶의 흐름을 점차 새롭게 형성해 가고 있다’는 것에…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Ubicomp’ 기술의 현재 수준 판단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Ubicomp’ 기술의 현재 수준에 대한 내용이다. Ubicomp이라는 용어는 1988년 Mark Weiser가 처음 사용했는데,…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증강현실’ 기술의 현재 수준 판단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증강현실’ 기술의 현재 수준에 대한 간단한 추가 설명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수십 년 동안…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인공지능’ 기술의 현재 수준 판단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인공지능’ 기술의 현재 수준에 대한 간단한 추가 설명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궁극적인 목표를 단…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 UCA(Ubiquitous Computational Access)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MASERINTS의 UCA개념에 대한 내용이다. 1990년대 Xerox PARC에서 근무하던 Mark Weiser는 Ubicomp이라는 개념을 구상했다.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 디지털 공간의 위험성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디지털 공간은 위험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추가설명이다. Shoshana Zuboff의 저서 『The Age of Surveillance…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내 주변에 꽉 찬 속이 검은 디지털 공간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에서 거론되었던 속이 검은 디지털 공간에 대한 것이다. 과연 그들은 누굴까? ‘속이…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4. 깨어있는 두뇌와 디지털 공간과의 공존 “경험의 발견과 창출”을 위한 두뇌의 반응을 느껴 보기 위해 시뮬레이션 하기 전에, 생각해 보고 싶은 부분이 바로 차고 넘치게 많은 종류의 다양한 ‘속이 검은 디지털 공간’들과 그들을 있게…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란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언급된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에 대해 이해를 위한 추가설명이다. Neuroplasticity은 두뇌가 변화하는 능력이다. 두뇌 세포(뉴런) 사이에 새로운 연결을 형성하고, 우리가 무엇을 하고,…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습관과 덩어리 경험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덩어리 경험이 거론되었는데, 과연 습관과의 관계에 대해 추가된 설명이다. 심리학자들은 ‘Fixed Mental Set’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는 두뇌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내연기관의 부품수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내연기관의 부품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참고한 자료이다. (1) Do Electric Cars Inherently Consist of Fewer Parts than Combustion Engine…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단위경험’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까?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언급된 “‘단위경험’이라고 부르는 하나의 가장 작은 경험”이라는 것에 대한 추가설명자료이다. MSERINTS에서는 ‘단위경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경험을 ‘경험분리기’로 분리했을…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나의 스마트한 디지털 공간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언급된 “나의 스마트한 디지털 공간”이라는 것에 대한 추가설명이다. 이 부분은 PTS로 개인화되어 존재하게 될 디지털 공간이 외부로부터…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대체경험’과 기억의 깊은 자국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언급된 “‘대체경험’도 ‘직접경험’처럼 깊은 자국을 남기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MASERINTS에서 ‘대체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기억의 깊은 자국 이 추가설명자료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에서 언급된 “기억의 깊은 자국”에 대한 내용이다. 신경과학 연구는 경험이 깊이 있게 인코딩될 때, 특히 새롭고 의미 있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3. 스마트하다는 표현의 속 뜻 DAGENAM에 대한 스토리텔링에 이어 “경험의 발견과 창출”에 대한 두뇌의 작업에 대한 시뮬레이션으로 들어가기 전에 “스마트하다”는 것의 속 뜻이 무엇일지 곰곰이 생각해 보기로 했다. 아마 요즈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나이를 먹게되면 굳어지는 두뇌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2. 신기한 두뇌의 작업]에서 거론되었던 나이가 들면 두뇌가 굳어진다고 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신경과학과 심리학에서는 노화가 지혜를 주지만 정신적 경직성을 증가시킨다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2. 신기한 두뇌의 작업 나는 매일 새로운 경험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경험을 한다는 것은 그 안에 새로운 경험도 있을 수 있고, 이미 있는 경험을 불러 다 쓰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작업은 매일 나의…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경험의 창출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1. 스마트한 사람이 되려면]에서 거론된 경험의 창출에 대한 내용이다. Schacter와 Addis는 사람들의 기억 체계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경험의 조각들을…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DAGENAM의 접근 방법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1. 스마트한 사람이 되려면]에서 내가 경험한 모든 것을 항상 기억해야 하고, 또 덩어리 되어 있다면 그것을 쪼개서 무수히 많은 ‘조각경험’으로 분리를 해야 하고, 가장…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1. 스마트한 사람이 되려면 스마트한 사람이란 문제 해결의 단서나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닐까? 그런 사람이 되기 위해 두뇌는 항상 깨어 있어야 하고, 많은 경험들, 다시 말해서, 많은 ‘직접경험’들, 많은 ‘대체경험’들, 많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추가설명자료: 메워지는 경험(Filler)의 정체 이 추가설명은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란 글의 [프롤로그]에서 언급된 “솟아오른 이유를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나도 모르게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에 대해 조금 더 이해를 주기위해 설명된다. 즉 알지 못하는 경험들이…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프롤로그 드디어 [2화 과거 DAGENAM이 유발점]의 [1. 어차피 올 디지털로 꽉 찬 세상]에서 거론되었던 “경험의 발견과 창출”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전개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보이려는 것은 경험의 발견보다 경험의 창출이 더… 4화 경험의 발견과 창출
에필로그 나는 자주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상황을 헤쳐 나가는 나를 발견한다. 마치 ‘여섯 번째 감각’에 끌려서 무엇인가를 받은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순간은 마법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흩어진 과거 경험들을 연결하고…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Sixth Sense: DAGENAM과 MASERINTS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4. Matthew Hutson의 ‘여섯 번째 감각’과 MASERINTS]이란 장에서 언급된 “Matthew Hutson의 주장은 DAGENAM과 MASERINTS의 기반이 되는 개념을 확증해 준다”에 대한 설명자료이다. (1) Your Sixth…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4. Matthew Hutson의 ‘여섯 번째 감각’과 MASERINTS 다음 내용은 Matthew Hutson의 ‘Psychology Today’지에 2012년도에 실린 『Your Sixth Sense』라는 글을 읽고 그 내용을 참조하면서 작성한 것이다. Matthew Hutson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가질 수 있는, 어떻게…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윤리적 행동 디자인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3. DAGENAM에서 MASERINTS로 넘어감]이란 장에서 언급된 “윤리적 행동 디자인”에 대한 내용이다.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MASERINTS의 터미널 시스템이 될 VCC와 VAFF 등과 매우 관련이…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주변 맥락이 사람들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3. DAGENAM에서 MASERINTS로 넘어감]이란 장에서 언급된 “주변 맥락을 동적으로 재구성하여 특정 순간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을 제공”에 대한 내용이다.…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DAGENAM에서 MASERINTS의 VPTS로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3. DAGENAM에서 MASERINTS로 넘어감]이란 장에서 언급된 “VPTS가 DAGENAM과 같은 처리과정을 거친 모든 ‘간접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나는 이 글을 쓰면서도 자주 생각을…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3. DAGENAM에서 MASERINTS로 넘어감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나름대로 DAGENAM에 대해 꾸준하게 고민하게 되었고, 조금 더 깊이 있는 DAGENAM을 디자인하기 위해 많은 자료와 정보를 모으게 되었다. 그 당시 DAGENAM은 디지털로 수집이 가능한 감각 데이터를…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DAGENAM과 유사개념 조사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2. DAGENAM이라는 이름의 정의]이란 장에서 언급된 DAGENAM의 이름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 보고 세상에 DAGENAM과 같은 유사한 개념이 있는지 궁금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DAGENAM과 유사한…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2. DAGENAM이라는 이름의 정의 DAGENAM은 ‘Deep Assemblies of Genuine Awakenings in Memory and Insight’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즉, ‘직접경험’을 내적 ‘간접경험’으로 확장하여, 실제 기억과 경험의 조각에서 비롯된 진정한 의미가 있는 ‘간접경험’으로 창출하여 직접적인 행동의…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구성주의(Constructivism)’와 실존주의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1. 여섯 번째 문의 발견]이란 장에서 언급된 “구성주의”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실존주의와 같이 거론된 것은 구성주의의 개념이 실존주의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언뜻 들었기 때문이었다. 자신이…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1. 여섯 번째 문의 발견 사람은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이라는 다섯 가지 익숙한 감각을 통해 세상을 지각(知覺)한다고 들었다. 이 감각들은 세상으로부터 자료와 정보가 유입되는 어쩌면 문과 같은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
추가설명자료: 첫 번째 기억의 구성 이 추가설명자료는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의 [프롤로그]이란 장에서 언급된 “나는 받아들인 감각 데이터를 정말로 그대로 기억만 하고 있는 것일까?”에 대한 내용이다. 첫 번째로 새겨지는 기억은 다섯 가지 감각, 즉… 3화 DAGENAM에서 MASERINTS로